카테고리 없음

[빙신]을 아시나요? (Bing 神)

AI-28호 2023. 3. 10. 09:15
반응형

털보님들 안녕하세요.
AI와 함께 좀 더 나은 미래의 삶을 추구하는 AI-28호입니다.

저의 블로그를 구독해 주시고 미래의 삶으로 같이 한 걸음씩 가볼까요?

오늘도 디지털 초보(털보)분과 함께 합니다.

 

 

 

[ 빙신을 아시나요?  Bing ]

 

지난 포스팅에서 chat gpt를 소개해 드렸죠.

오늘 소개해 드릴 AI는 빙신입니다.

아! 진짜 이름이 빙신이 아니고요. 마이크로 소프트사에서 제공하는 포털사이트 빙(bing)에서 포털 검색에 AI서비스를 탑재하여 공개했습니다.

chatgpt는 최근 정보에 취약한 반면 bing은 최근 정보를 바디 포함하고 있기에
능력이 신과 같다 하여 빙 + 신이라는 별명이 붙었어요. 오늘은 빙신을 소개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bing' 서비스 소개

 

 

자 지금부터는 '빙'이라고 부르겠습니다.

 

오늘 소개해드리는 빙은 인공지능 AI로 포털사이트에서 웹 검색을 도와드리는 챗봇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chatgpt와 거의 같은 대화 방식의 모델이지만 chatgpt의 경우  GPT-3.5라는 대형 언어 모델을 기반으로 하고 있지만, 빙은 bing의 웹 검색 결과 내용을 활용합니다. 

 

chatgpt의 개발사인 open ai 사와 Microsoft 사는 몇 년 전부터 장기적인 파트너 관계를 유지해 오고 있습니다.  Microsoft 사에서 open ai 사에 2019년 10억 달러를 투자하였고 2023년에는 수십억 달러의 추가적인 투자계획을 발표하였습니다.

 

그리고 이번에 소개드리는 빙 역시 bing의 검색 결과와 gpt 모델을 결합한 것으로 정식 명칭은 '프로메테우스'라고 합니다. 그런데 프로메테우스라고 부르기보다는 자기를 빙이라고 소개하고 있어요. 그러니 우리는 '빙'이라고 불러줄게요.

 

빙을 사용해 보려면 지금 바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지금은 사용자 신청을 하신 후 일정 기간을 대기하셔야 빙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어요.

대기하시는 기간은 정해지지는 않았지만 대략 1주일 정도 예상하시면 될 듯합니다.

 

 

 

'엣지' 브라우저 소개

 

"이번에는 '엣지'라는 브라우저가 필요합니다.

마이크로 소프트사의 브라우저를 이용하게끔 유도하기 위한 의도겠죠."

 

 

마이크로 소프트사의 엣지 브라우저

 

 

 

위 아이콘이 엣지 브라우저 아이콘입니다.

'bing' 포털 사이트를 검색하고 이동해 봅시다.

https://www.bing.com/

 

Info

Waimea Canyon, sometimes referred to as the Grand

www.bing.com

 

이동하시고 홈 화면에 보시면 빙을 소개하고 있는 내용이 확인되실 거예요.

회원가입을 하지 않으셨다면 회원가입을 진행해 주세요.

회원가입이 완료되었다면 홈 화면에 있는 '대기 목록에 등록' 버튼을 클릭하시면 빙 서비스 이용을 위한 대기 신청이 이루어집니다.

 

대기 기간은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대략 1주일 정도 지나게 되면 정식으로 빙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ing 서비스 이용방법 안내

 

 

 

승인이 된 후 홈화면을 볼까요?

 

 

 

 

뭔가 달라진 게 느껴지시나요?

 

 

 

 

좌측 상단에 보시면 채팅이라는 메뉴가 생성되었네요.

 

"채팅을 클릭하시게 되면 빙과 대화가 가능한 채팅 모드로 전환됩니다."

 

 

 

뭔가 새로운 채팅창 환경이라 어리둥절하시죠?

간략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우선 상단에 3개의 메뉴는 적혀있는 내용을 보시면 이해가 쉬우실 거예요. 복잡한 질문, 더 나은 답변, 창의적인 영감 얻기를 원하실 경우에는 아래 적힌 지문과 같은 형식으로 질문하시면 된다는 안내입니다. 질문을 적을 때 참고하여 작성해 보세요.

 

중간 부분은 대화 스타일을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정확함과 창작의 정도를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 

해당 부분을 조정하는 정도에 따라 답변의 질이 달라집니다.

 

빙이 말하는 말풍선 우측 하단을 보시면 '1/10'이라고 보이실 겁니다. 채팅창을 열고 들어가시면 빙은 무조건 인사를 합니다. 털보님들은 빙에게 10개의 질문을 하실 수 있어요. 답변을 1개 할 때마다 10개 중 1개를 자동으로 소모하게 돼요. 해당 숫자는 빙이 답변가능한 횟수가 남은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좌측 하단의 빗자루 모양의 아이콘은 무엇일까요?

빙이 10개의 대화를 다 답변하게 되면 더 이상 채팅창에 대화를 이어 나갈 수 없어요.

이때 빗자루 아이콘을 눌러서 대화창을 모두 정리하셔야 합니다.

모든 대화가 사라져요.

 

 

 

bing 서비스 시연과 나의 생각

 

"궁금하여 빙에게 질문을 해 보았습니다.

당사자의 대답이 궁금했거든요."

 

 

 

질문자의 질문을 어떠한 알고리즘에 의하여 처리하게 되는지 빙에게 질문해 보았습니다.

 

 

빙을 사용해 본 결과 대부분의 대답을 인터넷에서 검색을 하여 답변해 주려는 느낌이 너무나 심하게 들어서 직접 물어보았습니다.

 

 

 

네. 저의 예상이 맞았네요.

 

빙은 정확하게 이야기하면 bing 포털에서 제공하는 검색결과를 바탕으로 질문자의 질문에 적당한 답변을 구성합니다. 인터넷상에 데이터가 없다면 빙의 학습된 내부 지식,  아마도 GPT-3.5 모델 이겠지요? 그 자료를 이용해서 답변을 구성하는 것 같아요.

 

"빙을 신이라고 까지 표현한 것은 저의 기준에서는 좀 과하다는 생각입니다."

 

지난 시간 소개해드린 chat gpt 확장 프로그램에 인터넷 검색을 허용하여 답변을 구하였을 때와 별반 차이가 없다고 해야 할까요?

 

그리고 우선적으로 인터넷에서 자료를 찾는 방식이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 최근의 데이터를 질문한 것도 아닌데 인터넷을 찾아요. 그리고 우리 털보님들도 잘 아시겠지만 인터넷이라는 것이 진실만이 존재하는 공간이 아니죠. 사실뿐만 아니라 거짓들이 난무하는 공간입니다. 

 

'빙'이나  'chat gpt '모두 사실과 거짓을 검증해 낼 능력이 없습니다.

 

해당 거짓된 결과에 대한 검증은 오롯이 사용자에게 재확인하게끔 하고 있습니다.

절대 인공지능의 답변을 맹신하지 마십시오. 그리고 검증해 보세요. 사실에 가까운 답변인지.

우리는 인공지능의 답변이 진실에 가깝다는 사실을 검증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런 능력이 없다면 어쩌면 인공지능의 놀라운 능력은 우리에게 독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인공지능이 아무리 발달하고 발전한다 하더라도 AI가 인간의 신뢰를 100% 신뢰할 수 있을 때까지는 상당한 시간과 기술의 발전이 필요하리라 생각이 드네요.

 

 

 

 

 

AI와 대화를 많이 해보셨다면 느끼셨을 거예요.

뭔가 맞는 대답 같기는 하지만 정말 알고 싶은 본질의 알맹이를 꺼내어 알려준다기보다는

수박 겉핥기식의 너무나 포괄적이고 객관적인 답변들만 한다는 것을 느끼셨을 겁니다.

제가 블로그 글을 계속 쓰고 있는 이유가 거기에 있기도 하고요.

다음 포스팅에 또 뵙겠습니다.

 

 

 

 

반응형